최근 Service 개발에서 반복적인 Account 생성이 필요한 테스트 케이스가 있어서 작업 중 Remote Server에서 주민등록번호 Validation 을 하는 바람에 급히 검색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알아내었다. 예를 들어 640713-1018433 이 주민번호를 예로 들어보죠 우선 주민등록번호 마지막자리수만 제외하고, 각각의 자리수마다 다음과 같은 수를 곱하여 전체를 더한다. 6 4 0 7 1 3 1 0 1 8 4 3 x x x x x x x x x x x x 2 3 4 5 6 7 8 9 2 3 4 5 ----------------------- + + + + + + + + + + + + 즉, (6*2)+(4*3)+(0*4)+(7*5)+(1*6)+(3*7)+(1*8)+(0*9)+(1*2) +(8*3)+(4*4)+(3*5) = 151 그러면 151 이란 수가 나온다. 이 151을 매직키인 11로 나누어 나머지만 취한다. 151 / 11 = 몫: 13 <-- 버림 나머지: 8 마지막 단계로 매직키인 11에서 나머지 8을 빼면 3이란 수가 나오 는데, 이숫자가 주민등록번호 마지막 자리의 숫자와 일치하면 대한민국 국민이다. 11 - 8 = 3 --> 정상적인 주민등록번호임 출처 : http://blog.naver.com/foenix/40040223161 이 내용을 다음과 같은 메서드로 만들어 보았다. public static String getSSN() { Random rand = new Random(); Calendar cal = Calendar.getInstance(); cal.setTimeInMillis(rand.nextLong()); String s1 = new SimpleDateFormat("yyMMdd").format(cal.getTime()); String s2 = null; while(s2 == null || s2.length() < 6) { s2 = Integer.toString
나름의 뜻을 품고 전망좋은 직장을 박차고 고국으로 떠났으나, 내 능력을 과대평가한 것인지, 다른 원인이 있는지, 여러 사정상 정해진 역할 안에서 나의 의지로 할 수 있는 것이 많지 않다는 것을 일찌기 깨닫고 서로간 소중한 시간을 허비하지 않도록 신속히 결정을 내리고 얼마전에 지내던 곳으로 돌아왔다. 이전 회사로 돌아가는 것을 가장 먼저 떠올리고 원래 속했던 팀으로 재입사 절차를 밟기로 했다. 돌아간 사무실은 물리적인 위치를 옮겨서인 탓도 있고, 팀원 물갈이, 기업공개 등으로 더 이상 그리워 했던 곳이 아님을 깨닫고 일단 보류하고 잠깐 쉬면서 남가주를 여행하기로 했다. 달콤한 휴식도 잠시. 앞으로 무슨 일을 해야 할 지 조금은 막막해졌다. 배부른 소리일 수도 있겠지만, 선택의 여유가 생겨서이다. 예전부터 동경하던 알만한 다국적기업에 면접을 보고 좋은 결과를 얻었는데, 리더십항목에서 큰 점수를 얻어서 매니저 역할로 다시 진행해보는 것은 어떠냐는 피드백도 함께 받았다. 너무 쉽게 풀려서일까? 막상 일을 시작하려니 망설여졌다. 내가 하고 싶었던 일이 맞는지. 고성과를 기대하는 큰회사라는 중압감은 견딜 수 있을지. 중요 의사결정과정에 내 의지는 얼마나 반영될 수 있을지. 잠깐의 고민뒤 면접 본 포지션은 보류하기로... 매니저가 되어야 하나? 전부터 나이나 경력을 고려했을때 매니저가 되면 좋을 것이라는 조언을 들어왔다. 내가 역량이 모자란 것도 하나의 구실이지만, 동료들이 일을 잘할 수 있게 하는 것보단 내가 직접 나서서 해결하는 것을 선호하기 때문에, 가능하다면 실무에 가까운쪽에 남고 싶다. “내가 원하는 일은 무엇일까” 안정? 균형? 도전? 끊임 없는 질문을 자신에게 던져봤지만, 나도 나를 모르겠더라. 일찌감치 사업 할 그릇은 되지 않는 다고 판단해서, 끌리는 많은 곳에 입사지원을 하고 면접을 보며 알아가기로 했다. 클라우드, 사회관계망 회사, 음식 기술 회사들, B2B 분석, HR 기술, 각종 O2O 회사 등등 여러분야에 대면 면접을 보았고 몇몇으로부터는 제안 패
취직 2000년 3월. 나는 이제 막 3학년이 된 대학생이다. 실업계 고등학교를 중간 정도 성적으로 출석일수가 모자라 간신히 졸업한 것 치곤, 비록 명문은 아니지만 4년제 대학교에 진학한 것을 다행이라 여기며 재학중이다. 그런데, 지금 상황이 좋지 않다. 직전 학기에는 한과목을 제외하곤 모두 F 학점을 받아 학사경고를 받았고, 수강신청은 했지만 등록금을 마련하지 못해서 수일 내로 등록을 하지 못하면, 이번 학기는 휴학을 해야 할 판이다. 하지만, 그간 학비로 사용하기 위해 이미 대학생 신분으로 대출 할 수 있는 한도까지 모두 끌어쓴 상황이다. 군대를 갈까도 생각 중이지만, 가출한 동생과 사업 부도로 고생하시는 아버지를 생각하면 그 것도 내키지 않는다. 아버지는 며칠째 집에 안들어오시고, 차비가 없어 집밖으로 나가지 못하고 있다. 배가 많이 고프지만 먹을 것이 없어, 이 곳, 50년도 더 된 남부민동 달동네 슬레이트 지붕 밑에서 몇 시간째 누워 있는 건지도 모를 만큼 멍하니 천장만 바라보고 있다. 낮이 지나고 잠 못드는 밤이 지나 다시 아침... 핸드폰이 울린다. 핸드폰 요금이 연체된 지 꽤 됐는데 아직은 안끊겼나 보다. "여보세요?" "안녕하세요. 중앙정보기술의 김성수 이사라고 합니다." 중앙정보기술? 국가기관인가? 나한테 왜 전화한 걸까... "이번에 우리 회사에서 자바로 채팅 서비스를 만드는데, 아르바이트 해 볼 생각 없으신가 해서 전화드렸어요." 회사였군. 그런데, 난 넷츠고에서 채팅을 해본적은 있어도 그걸 어떻게 만드는지는 전혀 아는바가 없었으며 프로그래밍이라곤 학교에서 C언어를 해본게 전부였다. C언어의 학점은 C0를 받았고 아마 내가 최하점이었을거다. 자바라면 HTML에 들어가는 자바(당시엔 자바스크립트와 자바가 다른 것인지 몰랐다.)를 복사해서 붙여넣기 해본 적이 있는 경험이 다였다. "저... 죄송한데, 저 그런거 할 줄 모릅니다." "
나도 좀 올려주면 안되겠니???(부러워서 그랴)
답글삭제와우! 정말 대단하신걸요~
답글삭제축하드립니다 ^^
좀 부럽다능..
답글삭제근데 죄다 한국 사람들이고?
양놈들은 없나?